기술&제품

[SDI 포커스] 삼성SDI, 글로벌 5개 사업장 '사이버 보안 관리체계' 인증

2025.02.04

삼성SDI는 지난해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5개 사업장에 대한 '사이버 보안 관리체계(CSMS, Cyber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을 획득했다.


CSMS 인증은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를 포함한 전기, 전자 부품과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이버 보안 위협에 적절하게 조치할 수 있는 프로세스와 보안 정책을 갖추고 있음을 의미한다.


3 인증서-합성

[총 11개 항목을 포함하여 인증받은 삼성SDI CSMS 인증서]


삼성SDI는 국제시험인증기관인 'TUV 라인란드'*로부터 CSMS 인증을 받았으며, 인증을 받은 사업장은 국내를 비롯해 헝가리법인(SDIHU), 오스트리아법인(SDIBS), 미주생산법인(SDIABS), 유럽판매법인(SDIEU) 등 총 5곳이다.

* TUV 라인란드: 독일 소재의 국제 공인 시험 인증기관. 국제 표준과 각 국가 규격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의 제품, 시스템, 프로세스의 시험, 인증, 검사, 평가 서비스를 제공


CSMS 인증을 받은 배터리 업체 중 글로벌 생산시설까지 포함해 인증을 획득한 것은 삼성SDI가 처음이다. 그만큼 설계, 생산, 사용, 관리 등 배터리 제품의 전 생애주기(life cycle)에서 사이버 공격 대응 및 보안 관리 역량이 탁월하다는 점을 입증한 것이다.


2 삼성SDI, CES 2025

[CES 2025에서 셀투팩 컨셉 제품과 함께 전시된 삼성SDI 사이버 보안 관리체계 인증서]


이번 인증 획득은 유럽경제위원회(UNECE,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가 2024년 7월부터 유럽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차량에 대한 CSMS 인증을 법제화한 직후 이뤄진 것이어서 의미를 더했다. UNECE 협약에 가입된 56개 회원국의 자동차 회사가 유럽 내에서 차량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CSMS 인증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삼성SDI는 CSMS 인증을 위한 국제표준(ISO/SAE21434*)의 평가항목 11개를 모두 만족하였다. 

* ISO/SAE21434 : ISO(국제표준화기구)와 SAE(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가 지정한 자동차 사이버 보안 엔지니어링 국제 표준


삼성SDI는 지난 2023년 '사이버보안 전담 TF'를 구성하고 CSMS 인증 획득을 위한 준비 작업을 본격화했다. 국내외 5개 사업장 전체에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이들 사업장에 일괄 적용할 수 있는 통합 사이버보안 프로세스를 수립하는 등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이번 성과를 이뤄냈다.


4 본문(SDI-포커스)

[삼성SDI의 사이버 보안 관리체계 구축 및 인증 진행 단계]


삼성SDI는 이번 CSMS 인증으로 배터리 제품의 기능과 안전성은 물론 사이버 보안 역량에서도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입증함으로써 고객들의 신뢰를 확보할 것이다.

image

삼성SDI 뉴스룸

삼성SDI의 소식을 가장 빠르게 전달합니다.

해당 콘텐츠에 얼마나 만족하셨나요?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