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제품

[ESG] 삼성SDI의 품질 사수 노력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2024.12.24

삼성SDI는 ‘품질은 생명’이라는 기조 하에 제품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제품 전 생애 주기에 걸쳐 품질 강화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국제 규격에 맞는 품질경영시스템을 운영하고, 이는 전 세계 사업장의 ISO9001*, IATF 16949* 인증심사를 통해 검증되고 있다. 임직원 모두가 품질을 최우선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품질경영 10계명’을 원칙으로 두고 있다.

* ISO9001: 모든 산업 분야 및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을 규정한 국제표준 (출처: 한국표준협회)

* IATF16949: 국제자동차전담기구인 IATF가 제정한 자동차 품질경영시스템 표준.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산업 공급사슬 내 모든 기업의 품질시스템에 적용 (출처: GPC)

 

품질경영 10계명_kor

[품질경영 10계명]



배터리 안전성 강화

삼성SDI는 안전성에 대한 시장 요구사항에 맞춰 2023년 셀-모듈-배터리 팩을 연계한 열전파 방지 기술을 확보하여 제품에 적용했다. 배터리 안전성 평가도 체계적으로 진행한다. 대표적으로 압축, 관통, 낙하와 같은 위험 상황에 따른 안전성 테스트가 진행된다.


이미지_18. 전기자동타용 배터리의 차이점_5(kor)

[삼성SDI의 다양한 배터리 안전성 검사]


또한, 배터리 안전성을 개선한 SB(Safety Battery) 기종을 개발하고 있다. 일반 배터리는 90º 굽힘이나 펼침, 과도한 낙하, 못 관통과 같은 과도한 물리적 힘에 의해 손상되기 싶다. 극판이 갈라지거나 분리막이 찢어지면 쇼트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SB 기종은 유연성이 높은 극판을 사용해 갈라짐을 예방하고 세라믹 절연층과 보완 기재를 활용해 쇼트 발생을 차단한다. 또한, 안전성 첨가제를 사용해 리튬 덴드라이트*를 억제한다.

* 덴드라이트: 리튬이온이 음극에 제대로 삽입되지 못하고 음극 표면에 쌓여 나뭇가지 형태로 자라난 리튬 결정체로,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을 저해하는 요인

 ESG 5편_kor

[SB배터리 개요]



고객만족도 관리 

삼성SDI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고객사에 대한 CSI* 개선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품질 이슈 대응을 포함한 전체적인 대응 프로세스를 고객과 협의하여 구축했다. 특히 2023년 전략 과제로 ‘전기자동차용 원통형 배터리 불량 100ppm* 달성 체계 구축 및 고객 평가 최고 등급 달성’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배터리 장착 후 차가 움직이지 않는 품질 불량인 ‘0Km 불량’* 대응 프로세스가 수립되어, 개선안을 도출하고 개선활동을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0Km 불량률’은 목표 수치였던 100ppm 보다 초과 개선된 54ppm을 달성했다.

* CSI: Customer Satisfaction Index의 약자로, 고객만족도 지수

* ppm: parts per million의 약자로, 백만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

* 0km 불량: 자동차 부품 장착 후에 차가 움직이지 못하는 불량으로, 해당 기사에서 쓴 ‘0km 불량률’은 최종 소비자에게 차량을 판매하기 전에 발생하는 불량률



품질개선 관리 범위 확대

삼성SDI는 국내외 생산 법인의 품질경쟁력 확보를 위해 ‘공정품질사전검증’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국내외 생산 법인의 신규 라인 검증 프로세스 운영 강화를 위해 과거 사례를 백서화하여 반영하고, 설비 품질 리스크 검토 단계를 신설했다. 또한, 품질 관리 관제를 강화해 비딩* 검사를 포함한 18건의 검사 방법을 체계화했으며 검사 방법 자동화를 통해 인적 오류를 개선하고 있다.

* 비딩(Beading): 용접했을 때 접합 부분에 생기는 형상


파트너사의 품질개선 지원 활동도 수행 중이다. 파트너사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이루어지는 상생혁신활동을 통해 분야별로 구성된 혁신지원단이 파트너사에 상주하며 품질과 경쟁력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2023년에는 12개 파트너사와 상생혁신활동을 진행했으며, ‘24년에는 상반기 7개사, 하반기 8개사 총 15개 파트너사와 상생혁신활동을 진행했다. ‘품질시스템 Audit 파트너사’도 계속해서 확대하여 2022년 국내 67개사에서 2023년 국내 68개, 해외 45개사로 증가했다. 

image

삼성SDI 뉴스룸

삼성SDI의 소식을 가장 빠르게 전달합니다.

해당 콘텐츠에 얼마나 만족하셨나요?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