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제품

[지금 SDI는?] 연구개발 중!

2024.12.12

삼성SDI는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글로벌 R&D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기술경쟁력과 품질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국내에 위치한 SDI연구소에 더해 근 3년 동안 독일, 미국, 중국, 싱가폴 총 4개 국가에 연구소를 설립했다. 총 5곳의 연구소를 기반으로 차세대 제품 개발, 공정 및 설비 연구 등 전략적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삼성SDI는 2022년부터 해외 연구소를 꾸준히 설립해 글로벌 신기술 및 해외 우수 인력을 활용하고 있다. 2022년 7월에 독일 뮌헨 소재의 SDI R&D Europe를 설립했으며, 8월에 미국 보스턴 소재 SDI R&D America를 설립했다. 이듬해인 2023년 4월에는 중국에 SDI R&D China를 설립한데 이어 2024년 9월 싱가폴에 SDI R&D Singapore를 설립하며 글로벌 R&D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241211_글로벌 R&D센터 본문이미지_kor

[삼성SDI 글로벌 R&D 네트워크]


해외 연구소들은 현지의 우수 대학, 연구기관 및 스타트업과 협력하여 국가별 강점 기술을 조기 확보하고 있다. SDI R&D Europe의 경우 배터리 공정 및 설비 연구 개발, SDI R&D America는 리튬이온 배터리 혁신 기술 및 차세대 배터리 연구 개발, SDI R&D China에서는 특화 기술 확보 및 배터리 소재 검증에 중점을 두고 현지 기관과 협력을 진행 중이다. 


한국 수원에는 SDI연구소가 있다. SDI연구소는 1983년에 설립되어 이후 배터리, 전자재료 기술 개발에 큰 역할을 해왔다. 특히, 2023년 12월 중대형전지사업부 내 ‘ASB사업화추진팀’*이 신설되기 전까지 전고체 배터리 연구의 중심이 되어 관련 기술을 개발해왔다. 2023년 6월에는 SDI연구소가 위치한 수원사업장 내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인 ‘S Line’이 완공되었다. 하반기에는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 생산으로 양산 단계로 향하는 주춧돌을 쌓았다. 

* 전고체 배터리(All Solid Battery)의 사업화를 추진하는 팀

 수원사업장_L2_900

[삼성SDI 수원사업장 전경, SDI연구소와 차세대 배터리라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의 파일럿 라인 S Line이 위치해 있다]


그 밖에도 삼성SDI는 연구개발비를 계속하여 확대하고 있다. 2022년에 1조 763억 원(매출 비중 5.4%), 2023년에 1조 1,363억 원(매출 비중 5.0%)을 연구개발에 투자했다. 2024년 상반기에도 6,932억 원(매출 비중 7.2%)을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차세대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다.


(25-0204) 연구개발비 그래프_(kor)

[최근 3개년 '연구개발비'와 '매출액대비%' 수치]

image

삼성SDI 뉴스룸

삼성SDI의 소식을 가장 빠르게 전달합니다.

해당 콘텐츠에 얼마나 만족하셨나요?

아래